있습니다 있읍니다 맞춤법 있슴 있음 바른표기법 [우리말 바르게 쓰기]
# 있습니다 있읍니다 / 있음 있슴
있습니다 (O)
있읍니다 (X)
있음 (O)
있슴 (X)
# 왜 있음니다, 있슴으로 잘못 쓰나?
1989년 이후 바뀌 규정 때문에 혼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1989년 이후 표준어 규정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습니다로 통일했다. 이 논리대로 하자면 있음도 있습니다로 쓰니까 있슴으로 단일화해서 쓸 것 같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서술형을 -습니다로 통일한 것을 명사형 -음마저 슴으로 쓰라는 규정이 아니다.
# 왜 있음으로 써야 하나?
우리말에서 명사를 만드는 명사형 어미는 -ㅁ이다. 매개 모음 '으'가 들어가 '-음'으로 쓴다. 따라서 있다의 명사형은 있음으로 표기한다.
# 여전히 인기 많은 있읍니다 있슴 표기
앞서 문법 설명을 했지만 일상에서 그렇게 문법 분석을 철저히 공부해서 우리말을 익혀두는 사람은 드물다. 대개는 그냥 평소 습관대로 쓴다. 그래서 있읍니다 있슴은 많은 사람들이 계속 최근까지 쓰고 있는 '잘못된 표기'다.
다음의 블로그 검색 결과다. 최신순 정렬이다. 있슴이 많이 보인다.
있읍니다도 마찬가지다.
# 덧붙임 - 이명박 현충원 방명록 맞춤법 사건 "바치겠음니다."
아직도 있읍니다라고 표기한다면 나이가 많은 분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학교에서 1989년 바뀐 표준어 규정을 공부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출판이나 글 쓰는 일을 종사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 대개들 옛날 습관 대로 쓴다.
대표적인 사람이 이명박 대통령이었다. 2008년 2월 25일 현충원 방명록 글에서 맞춤법을 틀리게 썼다. "국민을 섬기며 선진 일류국가를 만드는데 온몸을 바치겠읍니다." -읍니다로 썼다. 띄어쓰기도 틀렸다. '만드는데'가 아니라 '만드는 데'로 써야 맞다.
'우리말 표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원찮다 시원챦다 [한글 맞춤법 공부] (0) | 2016.06.10 |
---|---|
아무튼 아뭏든 [우리말 바르게 쓰기] (0) | 2016.06.09 |
금새 금세 [표기가 헷갈리는 우리말] (0) | 2016.06.02 |
통틀어 통털어 [자주 틀리는 우리말 바로 쓰기] (0) | 2016.05.30 |
깨끗이 깨끗히 [헷갈리고 잘못 쓰기 쉬운 우리말 바로 쓰기] (0) | 2016.05.26 |